본문 바로가기
금융,코인,주식

코인 지갑 이동 방법 –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by Relief Fund 2025. 2. 14.



오늘은 코인 지갑 이동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해볼게요. 특히 업비트, 빗썸 같은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메타마스크, 하드웨어 지갑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다룰 거예요.



1. 코인 지갑 이동이란?


코인 지갑 이동이란,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혹은 한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 코인을 보내는 것을 말해요. 쉽게 말해, 은행 계좌에서 다른 계좌로 송금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에요.

그런데 일반 은행 계좌 송금과는 조금 달라요. 암호화폐 지갑 이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기 때문에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코인 지갑 이동이 필요한 경우

✔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이동 → 해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
✔ 개인 지갑 간 이동 → 핫월렛에서 콜드월렛으로 이동
✔ 스테이킹, NFT 구매 등 특정 플랫폼 사용을 위해
✔ 거래소 간 이동 → 김치 프리미엄 활용, 수수료 절약



2. 코인 지갑 이동 시 꼭 확인해야 할 것



① 올바른 네트워크 선택

각 코인은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며, 잘못된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코인을 잃을 수도 있어요. 대표적인 네트워크와 특징은 다음과 같아요.

ERC-20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더리움(ETH), USDT, UNI 같은 코인이 주로 사용되며, 보안이 강하지만 전송 수수료(Gas fee)가 높은 편이에요.

BEP-20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바이낸스 코인(BNB), CAKE, USDT 등을 지원하며, 수수료가 낮고 빠르게 전송할 수 있어요.

TRC-20 (트론 네트워크): 트론(TRX), USDT 등이 있으며, 수수료가 매우 저렴해 소액 전송할 때 유리해요.


⚠️ 네트워크를 잘못 선택하면 코인을 복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② 지갑 주소 정확하게 입력하기

코인을 전송할 때 받는 지갑 주소를 잘못 입력하면 복구할 방법이 없어요.

주소 복사 & 붙여넣기 필수 (직접 입력하지 말 것)

주소가 올바른 네트워크인지 확인

테스트 전송(소량 전송 후 확인)


③ 수수료(Fee) 확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만큼 전송할 때 수수료가 발생해요. 네트워크에 따라 다르지만, 이더리움(ERC-20) 계열은 수수료가 높고, 트론(TRC-20)이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EP-20)은 저렴한 편이에요.



3. 코인 지갑 이동 방법 (거래소 → 개인 지갑)


이제 직접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메타마스크, 하드웨어 지갑 등)으로 코인을 이동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① 거래소에서 코인 출금 (업비트, 빗썸 기준)


1. 거래소(업비트, 빗썸 등)에 로그인


2. [입출금] → [출금] 메뉴로 이동


3. 출금할 코인 선택 (예: 이더리움 ETH)


4. 받는 지갑 주소 입력 (개인 지갑 주소)


5. 네트워크 선택 (ERC-20 / BEP-20 등)


6. 출금할 금액 입력 후 확인


7. OTP 인증 후 출금 요청



② 개인 지갑에서 입금 확인 (메타마스크 기준)


1. 메타마스크(또는 하드웨어 지갑) 열기


2. 입금된 코인 확인 (네트워크가 맞는지 체크)


3. 지갑에서 정상적으로 코인이 들어왔는지 확인



⚠️ 거래소마다 출금 처리 시간이 다를 수 있으니 기다려야 할 수도 있어요.


4. 코인 지갑 이동 시 주의사항


① 주소 복사 실수 금지

직접 입력하면 오타가 날 수 있으니, 반드시 복사 & 붙여넣기


② 네트워크 선택 실수 주의

ERC-20, TRC-20, BEP-20 중 보낼 지갑과 동일한 네트워크 선택

잘못 보내면 코인이 사라질 수 있음


③ 작은 금액으로 테스트 전송

대량 전송 전에 소량(예: 0.001 ETH)으로 테스트 후 진행


④ 수수료 고려 후 전송

수수료가 비싼 시간대(트래픽 많은 시간) 피하기

가능하면 BEP-20, TRC-20 네트워크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