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널리 쓰이는 폴리에틸렌, 그러나 환경호르몬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플라스틱의 대표 주자인 폴리에틸렌은 우리 주변 어디서나 볼 수 있지만, 최근 환경호르몬 배출 문제로 건강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식품 포장재, 생활용품, 장난감 등 일상 곳곳에서 사용된다. 특히 식품 용기나 포장재로 많이 쓰이는데, 이 과정에서 환경호르몬이 음식물로 옮겨갈 수 있다. 특히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환경호르몬 용출이 더 활발해진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우리 몸의 호르몬 체계를 방해한다. 생식기능 저하, 성조숙증, 비만, 갑상선 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나 임산부는 더욱 취약하다.
폴리에틸렌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은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A다. 이들은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방출되며, 열이나 기름에 접촉하면 방출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상황은:
- 뜨거운 음식을 플라스틱 용기에 담을 때
-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할 때
- 오래된 플라스틱 용기를 계속 사용할 때
- 기름진 음식을 플라스틱에 보관할 때
- 플라스틱 용기가 긁히거나 변색됐을 때
이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 수칙:
1. 유리나 스테인리스 용기 사용하기
2. 전자레인지는 전용 용기 사용하기
3. 뜨거운 음식은 식혀서 담기
4. 오래된 플라스틱 용기 교체하기
5. 플라스틱 용기는 중성세제로 부드럽게 세척하기
특히 영유아용 제품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아기들은 장난감을 입에 물거나 빨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가능한 천연 소재 장난감을 선택하고, 플라스틱 제품은 안전 인증을 받은 것만 사용해야 한다.
식품 보관 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기름진 음식이나 산성 식품은 환경호르몬 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음식은 유리 용기나 스테인리스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할 때는 식품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생수병도 문제다. PET병에서도 미량의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 특히 차 안이나 햇빛이 드는 곳에 오래 두면 환경호르몬 방출이 증가한다. 가능하면 유리병이나 스테인리스 물병을 사용하고, 생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폴리에틸렌 용기 구매 시에는 재활용 마크와 식품 용기 인증 마크를 확인해야 한다. 재활용 마크의 숫자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식품용' 표시가 있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대체재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옥수수 전분이나 사탕수수를 원료로 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제품들은 환경호르몬 걱정이 없고 자연분해도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폴리에틸렌 사용을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지만, 현명한 사용법을 알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능한 범위에서 천연 소재나 안전한 대체재를 사용하고, 불가피하게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는 주의사항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건강과 환경을 위해 조금 더 신경 쓰는 습관을 들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