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주식 거래는 상장주식과 다르게 세금이 부과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제대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오늘은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란?
비상장주식을 양도(매도)할 때 발생하는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양도소득세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코스피·코스닥에 상장된 주식을 거래할 때는 대주주가 아닌 이상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하지만 비상장주식은 거래 규모와 상관없이 양도소득세 대상이 된다.
비상장주식의 양도소득세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대주주 여부에 관계없이 과세
2. 거래 상대방이 법인인지 개인인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짐
즉, 상장주식과 달리 비상장주식은 투자금액과 무관하게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2.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세율
비상장주식의 양도소득세율은 몇 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1) 중소기업 비상장주식
세율: 양도차익의 10%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 (즉, 총 세율은 11%)
2) 일반기업(중소기업이 아닌 법인)의 비상장주식
세율: 양도차익의 20%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 (즉, 총 세율은 22%)
3) 대주주(과세표준 3억 초과)
세율: 양도차익의 25%
지방소득세: 양도소득세의 10% (즉, 총 세율은 27.5%)
즉, 투자한 기업이 중소기업이면 세율이 낮고, 일반기업이면 세율이 높아진다. 또한 양도 차익이 크면 세금 부담도 커지는 구조라는 점을 기억해 두자.
3.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세금이 실제로 얼마나 나오는지 예제를 통해 살펴보자.
🔹 예제 1: 중소기업 비상장주식 매도
매입가: 1,000만 원
매도가: 2,000만 원
양도차익: 1,000만 원 (2,000만 원 - 1,000만 원)
세율: 10%
계산:
양도소득세 = 1,000만 원 × 10% = 100만 원
지방소득세 = 100만 원 × 10% = 10만 원
총 세금 부담: 110만 원
🔹 예제 2: 일반기업 비상장주식 매도
매입가: 5,000만 원
매도가: 8,000만 원
양도차익: 3,000만 원
세율: 20%
계산:
양도소득세 = 3,000만 원 × 20% = 600만 원
지방소득세 = 600만 원 × 10% = 60만 원
총 세금 부담: 660만 원
이처럼 같은 양도차익이라도 어떤 기업의 주식이냐에 따라 세율이 달라진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4.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비상장주식 거래 후 양도소득세 신고는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서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면 온라인으로도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다.
신고 기한
양도소득세 신고는 주식을 매도한 다음 달 말일까지 해야 한다. 예를 들어, 2월 15일에 비상장주식을 매도했다면 3월 31일까지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한다.
신고 방법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2. [신고/납부] → [양도소득세 신고] 선택
3. 비상장주식 거래 내역 입력
4. 자동 계산된 세금 확인 후 신고 제출
5. 납부 기한 내 세금 납부
신고를 깜빡하고 기한 내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xrWXP/btsMdK4qItB/0u3rkZyAX64i3S1HvMNtAK/tfile.jpg)
5.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비상장주식 거래 시 세금을 줄이는 몇 가지 팁이 있다.
1) 중소기업 주식 투자
일반기업보다 중소기업 주식에 투자하면 양도소득세율이 낮아져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 배우자·가족에게 분산 투자
배우자나 가족에게 증여한 후 매도하면 양도차익을 분산해 세금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다만, 증여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신중해야 한다.
3) 장기 보유 전략
비상장주식 거래는 장기 투자할수록 절세 효과가 커질 수 있다. 기업이 상장하면 양도소득세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다.
6.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꼭 체크하자
비상장주식 투자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세금 부담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특히 거래 후 신고를 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기한 내 신고·납부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세금 절약을 위해 중소기업 투자, 가족 증여, 장기 보유 전략 등을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비상장주식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오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 세금 문제를 미리 대비해 두자.
'금융,코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썸 계좌 개설 & 농협 계좌 연결 방법 완벽 정리! (0) | 2025.02.12 |
---|---|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해제, 투자자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0) | 2025.02.11 |
OKX 거래소 선물거래 방법 완벽 가이드 (초보자 필독!) (0) | 2025.02.09 |
나무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쉽고 빠르게 따라하기 (0) | 2025.02.09 |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AI 패권 수혜주 관련주 분석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