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OKX 거래소에서 선물거래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초보자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하나 쉽게 설명해 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1. OKX 거래소란?
OKX는 세계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로, 다양한 코인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에요.
특징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다양한 암호화폐 지원
현물거래, 선물거래, 마진거래, 옵션거래 등 다양한 투자 방식 제공
최대 125배 레버리지 가능 (하지만 고배율은 위험!)
모바일 앱 및 PC에서 쉽게 사용 가능
특히 선물거래는 단순한 코인 매매보다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잘못하면 투자금이 순식간에 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을 꼭 유념하세요!
2. OKX 거래소 가입 및 KYC 인증 방법
OKX에서 선물거래를 하려면 먼저 회원가입과 본인 인증(KYC)을 해야 해요.
회원가입 방법
1. OKX 공식 웹사이트로 접속
2. 이메일 또는 휴대폰 번호로 계정 생성
3. 비밀번호 설정 후, 이메일 인증 완료
회원가입은 간단하지만, 출금 제한 해제 및 보안 강화를 위해 KYC 인증을 완료하는 것이 좋아요.
KYC 인증 방법
1. OKX 계정에 로그인 후 ‘보안 설정’ → ‘신원 인증’ 클릭
2. 여권,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중 하나를 업로드
3. 얼굴 인식(셀카) 진행 후 완료
KYC 인증이 완료되면 하루 최대 출금 한도가 늘어나고, 선물거래도 가능해져요!
3. OKX 거래소에 암호화폐 입금하기
OKX에서 선물거래를 하려면 먼저 암호화폐를 입금해야 해요. 국내 거래소(업비트, 빗썸 등)에서는 원화(KRW)로 거래하지만, OKX는 해외 거래소라 원화를 직접 입금할 수 없어요.
가장 쉬운 입금 방법
1. 국내 거래소(업비트, 빗썸 등)에서 리플(XRP) 또는 트론(TRX) 구매
이유: 송금 속도가 빠르고, 수수료가 저렴함
2. OKX의 지갑 주소 확인
3. 국내 거래소에서 OKX로 리플(XRP) 또는 트론(TRX) 전송
4. OKX에서 받은 코인을 USDT(테더)로 변환
이렇게 하면 OKX에서 자유롭게 선물거래를 할 수 있어요!
4. OKX 선물거래 시작하는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OKX에서 선물거래를 시작해볼게요!
1) 선물거래 메뉴로 이동
1. OKX에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Trade’ → ‘Futures’ 클릭
2. 거래하려는 암호화폐 페어(예: BTC/USDT, ETH/USDT 등) 선택
2) 마진 모드 설정
OKX에서는 두 가지 마진 모드를 지원해요.
교차 마진(Cross Margin): 계정 전체 자산을 마진으로 사용
격리 마진(Isolated Margin): 특정 포지션의 자산만 마진으로 사용
초보자라면 격리 마진을 추천! 교차 마진을 사용하면 잘못하면 전재산이 청산될 수도 있어요.
3) 레버리지 설정
OKX는 최대 125배 레버리지까지 설정 가능하지만, 초보자라면 2~5배 정도로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레버리지 개념
1배 레버리지 = 원금 그대로 거래
5배 레버리지 = 원금의 5배로 거래 가능 (하지만 위험도도 5배!)
고배율 레버리지는 순식간에 청산될 수 있으니, 적절한 레버리지를 선택하세요.
4) 주문 유형 선택
선물거래를 할 때는 다양한 주문 유형이 있어요.
지정가 주문 (Limit Order): 원하는 가격에 주문을 걸어두는 방식
시장가 주문 (Market Order): 현재 시장 가격으로 즉시 거래
스톱 리밋 주문 (Stop Limit Order): 특정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주문 실행
초보자는 시장가 주문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쉬워요!
5) 매수(롱) vs. 매도(숏)
롱(Long) 포지션: 코인이 오를 것 같으면 매수
숏(Short) 포지션: 코인이 내릴 것 같으면 매도
OKX 선물거래에서는 하락장에서도 숏 포지션을 잡아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에요!
![](https://blog.kakaocdn.net/dn/kQeqv/btsMcx4GnI9/wofX9rkbZvtakIHc9Pdflk/tfile.jpg)
5. OKX 선물거래 시 주의할 점
선물거래는 수익을 크게 낼 수 있지만, 청산(=투자금 전액 손실)의 위험도 크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안전하게 선물거래하는 팁
1. 초보자는 레버리지를 2~5배 이하로 설정
2. 손절가(Stop Loss)를 반드시 설정
3. 투자금의 10~20%만 사용하고, 전재산을 넣지 않기
4. 코인 뉴스 및 차트 분석을 꾸준히 체크하기
특히 손절가를 설정하지 않으면 급락할 때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니, 항상 설정해두세요!
'금융,코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해제, 투자자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0) | 2025.02.11 |
---|---|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0) | 2025.02.11 |
나무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쉽고 빠르게 따라하기 (0) | 2025.02.09 |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AI 패권 수혜주 관련주 분석 (1) | 2025.02.07 |
SK바이오팜 2024년 4분기 실적 분석: 첫 연간 흑자 달성! (0) | 2025.02.07 |